>

벌써 4월 중순입니다. 조금은 늦었지만, 지난1분기에 좋았던 영화들을 되짚어보려고 합니다.

올해 초는 아카데미 후보작들부터 시작해, 좋은 영화들이 참 많았죠.

개봉월 별로 2편의 영화를 선정해 보았습니다. 혹시 놓치셨다면, 한번쯤 감상해보길 추천하는 영화들입니다.



 -1월 -




원더(Wonder, 2017)

감독: 스티븐 크보스키

출연: 제이콥 트렘블레이, 줄리아 로버츠, 오웬 윌슨



사실은 작년 12월 말에 개봉하였지만, 못본다면 너무나 아까운 영화라 이번 리스트에 포함하였습니다.

이 영화는 선천적 장애로 인해 남들과는 다른 얼굴을 가진 10살 소년 ‘어기’가 세상으로 나오게 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어기 주변의 친구들과 가족의 이야기도 함께요. 어기를 위해서라면,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엄마와 아빠. 힘든 시간을 겪으면서도 착하고 순수하게 성장 중인 누나와 누나친구. 그리고 학교에 가며 새로 만나게 되는 친구. 영화는 이들 한명 한명을 조명해 주는데요. 그런 방식 또한 이 영화의 내용처럼 착한 것 같아요.

저는 이 영화를 보고 '마음이 좋아졌다'고 표현하는데요. 나오는 모든 사람들이 착하고, 순수해서 보는 이의 마음까지 감동시켜 버리기 때문이에요. 참고로 이 영화의 원작은 소설인데, 뉴욕타임즈 선정 118주 베스트셀러였다고 합니다.




피의 연대기(For Vagina's Sake, 2017)

감독: 김보람

출연: 여경주, 김보람, 심이안 등



한 달에 한 번 여성들에게 찾아오는 그것. '생리'에 대한 다큐멘터리입니다.

생리에 대한 여성들의 솔직한 이야기부터, 생리대가 아닌 우리가 할 수 있는 다양한 선택들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당연히 알아야 할 인간의 몸에 대한 이야기죠. 또한 우리가 쉬쉬하던 이야기를 밖으로 꺼낸 의미있는 작품이기 때문에 누구든 보시면 좋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작품은 아기자기하고 예쁜 분위기기 때문에 보기에 재미도 있고 편합니다. 곳곳에서 감독님의 세심함이 많이 느껴지도 하죠. 특히 저는 생리컵을 꺼내는 장면을 고프로로 찍은 씬이 굉장히 감각적이라고 느꼈습니다.

이 영화에 대한 자세한 리뷰는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2018/04/08 - [영화&드라마 리뷰] - (영화) 생리에 대한 모든 것! [피의 연대기] & GV 후기





 -2월 -




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The Shape of Water, 2017)

감독: 기예르모 델 토로

출연: 샐리 호킨스, 마이클 섀넌



영광의 오스카를 거머쥔 작품이죠. 이 영화 <셰이프 오브 워터>는 말을 할 수 없는 장애를 가진 여주인공과 괴생명체의 사랑을 담았습니다. 괴물의 덕후라고 불리우는 '기예르모 델 토로' 감독 작품 세계의 정수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싶어요.

저는 이들의 아름다운 사랑과 환상적인 분위기에 완전히 매료되었습니다. 특히 말을 하지 못하는 여주인공이 크리쳐를 구해와야 한다고 자일스를 설득하는 장면. 잊혀지지가 않아요. 개인적으로 이 영하는 정말 '영화다운 영화'라고 생각합니다.




더 포스트(The Post, 2017)

감독: 스티븐 스필버그

출연: 메릴 스트립, 톰 행크스



미국 워싱턴 포스트사가 월남전 파병에 대한 비밀을 세상에 알린다는 내용의 영화로 실화를 바탕으로 하였습니다. 이 영화는 보도 영화로, 그리고 페미니즘 영화로 볼 수 있습니다. 최초의 여성 발행인이 된 '캐서린'(메릴 스트립)의 상황에 대해서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죠. '메릴 스트립'은 중대한 결정을 해야 하는 최초의 여성 발행인의 혼란스러운 내면을 섬세하게 표현하는데요. 오스카에 최다 노미네이트 된 여배우라는 명성에 걸맞은 훌륭한 연기를 보여주었습니다.

이 영화는 <스포트라이트>랑 비교할 수도 있을텐데요. <스포트라이트>에 비해 장르적인 재미를 많이 담고 있어서, 흥미진진하게 볼 수 있었습니다. 아, 특히 올바른 일을 하려는 언론들의 연대가 정말 감동적이었습니다.






 -3월 -




플로리다 프로젝트(The Florida Project, 2017)

감독: 션 베이커

출연: 윌렘 대포, 브루클린 프린스, 브리아 비나이트



사랑스러워 보이는 이미지와 달리 이 영화는 꽤나 자극이 컸던, 센 영화입니다.

싸구려 호텔을 전전하며 살고 있는 미국 최저소득층의 이야기를 아이의 눈을 통해 보여주죠. 귀여운 아이들이 쌍욕을 하고, 주인공 아이의 엄마도 불법을 자행합니다. 하지만 마지막엔 아동보호법의 심판 앞에 서게 되고, 미국 사회에 대한 하나의 문제의식을 보여주죠. 내용과는 다르게 날씨는 또 어찌나 맑은지, 맘이 찌르르합니다.

'션 베이커' 감독은 영화로 저널리즘을 하겠다는 이야기를 했는데요. 정말 그런 것 같아요. 저 또한 한명의 관객으로 이 영화를 보고, 그 어느때보다 미혼모 문제라던가 빈곤문제에 대해서 관심을 갖게 되거든요. 어떻게 그런 문제의식을 이렇게 멋진 영화로 풀어냈는지 그 재능이 정말 대단합니다.




콜 미 바이 유어 네임(Call Me by Your Name , 2017)

감독: 루카 구아다니노

출연: 아미 해머, 티모시 샬라메



이탈리아의 어느 여름. 17살 소년 '엘리오'와 24세 청년 '올리버'의 짧고 뜨거운 사랑 이야기입니다. 거기에 이탈리아 농촌의 서정적인 느낌이 어우러져 이 영화만의 아름다움이 완성되었죠. 이 영화는 80년대를 배경으로 합니다. 과거를 배경으로 한 동성애 영화는, 드러낼 수 없었던 당시의 사회 분위기 탓에 그 자체로 애틋해지기 마련이죠. 하지만 이 영화에서는 그 이상의 아름다움을 볼 수 있습니다!

영화는 주로 '엘리오'의 시각으로 진행되는데요. 첫사랑의 열병으로 너무나 여린 존재가 되어버린 엘리오를 보며, 우리는 우리의 지나간 첫사랑도 떠올리게 됩니다.

이 영화의 원작 소설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2018/04/06 - [영화&드라마 리뷰] - (영화)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영화와 소설 전격 비교!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공감] 버튼 클릭! 부탁드립니다.




Posted by 소소한 감자
,

생리에 대한 모든 것!

피의 연대기 & GV 후기




피의 연대기 (For Vagina's Sake, 2017)

감독: 김보람

출연: 여경주, 심이안, 김보람 등




4월 4일 저녁. 상상마당에서 감독님 GV가 있는 상영시간에 이 영화를 봤습니다. 사실은 피곤해서 가지 말까 고민하다가 겨우 갔는데, 정말 정말 가길 잘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정말 좋은 영화였거든요.


영화는 ‘생리’에 대한 다큐멘터리입니다. 태초부터 여성들은 한 달에 한 번 흐르는 피 때문에 고통을 겪죠. 영화는 생리에 대한 여성들의 솔직한 이야기부터 시작해, 일반적인 생리대가 아닌 생리컵에 대해서도 집중적으로 다룹니다.


쉬쉬하던 이야기를 과감하게 꺼낸 것이죠. 페미니즘적인 측면에서 의미있는 영화입니다. 하지만 이 영화는 페미니즘을 강조하며 사회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그런 과격한 영화가 아닙니다. 생리나 생리용품에 대한 정보 전달이 더 많은 부분이라고 할 수 있어요. 말 그래도 생리현상. 인간의 신체에 대해 몰랐던 정보를 알려줍니다. 그렇기에 이건 누구나 봐야하는 영화라고 말하고 싶어요!




우선 이 영화는 제목부터 훌륭합니다. ‘연대’를 이중으로 해석가능한데,(시간순으로 나열하는 연대와, 함께 한다는 뜻의 연대) 모두 이 영화에 걸맞죠. 영화가 끝날 때 저는 정말로 ‘연대감’을 느끼며 뭉클한 기분이었습니다. 하지만 이 영화는 진지하고 보기 불편한 영화가 아닙니다. 아주 밝고, 아기자기합니다. 곳곳에서 감독님의 세심함이 느껴지기도 하죠.


이 영화를 보고 저는 또 하나의 세계에 눈을 뜨게 된 기분이었습니다. 확실히 여성들은, (따로 많이 노력하지 않는다면-) 자신의 몸에 대해서 수동적인 삶을 살게되죠. 왜 어릴땐 생리대를 숨기라고 배웠는지. 이런 교육법 때문에 많은 문제가 생겼다고 생각합니다. 여권이라던가 여성의 주체성 문제는 물론이고, 남자가 여성의 몸을 전혀 모른다는 문제도 생기는거죠. 이런 것이 여성에 대한 그릇된 인식을 심기도 하고요. 다행히도 요즘 청소년들은 생리대나 탐폰에 대해서 남,여 다같이 배우는 것 같더라구요.


솔직히 생리대만 쓰던 사람이 갑자기 생리컵을 시도하는건 너무 큰 일일 거에요. 하지만 꼭 이걸 해야지! 라기 보다는, 우리가 스스로 택해서 할 수 있는 선택지가 많다는 걸 인식하는 것만으로도 우리의 태도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저 또한 이 영화를 보고 인식을 넓히는 계기가 되어 참 좋았습니다.



감독님이 GV를 통해 이야기하신 것 중 인상적이었던 것 몇가지를 적어볼게요.


1. 영화 작업을 위해 생리컵을 다양하게 사용해보아야 했는데, 스텝들이 전부 생리 불순이 되어버렸다네요.ㅠㅠ

그래서 생리를 하면 단체 카톡 방에 꼭 알려야 했다는 이야기.ㅎㅎ


2. 김보람 감독님이 젊은 여성들을 스텝으로 구성하였다고, 성차별 감독이라는 항의글이 올라오기도 했다는 해프닝.


3. 생리를 하지 않도록 하는 시술이 있다는 이야기도 하셨습니다. 저는 정말 이런게 있다는 것을 처음 알아서, 굉장히 놀랐는데요. 찾아보니 미레나 시술과 루프시술이 있네요. 내 몸을 내가 어떻게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이렇게 몰랐다는 걸 다시 한 번 느꼈어요.


4. 김보람 감독님은 벌써 다음 작업을 진행 중이고, 플러스 사이즈 모델 이야기라고 합니다. :)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공감] 버튼 클릭! 부탁드립니다.





Posted by 소소한 감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