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력(2017)
감독: 연상호
출연: 류승룡, 심은경
이 영화를 본 첫느낌은 “뭔가 어색하고 애매하다.” 였다.
연상호 감독의 전작인 <부산행>은 대중성과 장르적 쾌감을 고루 갖춘 영화였고, 누가 봐도 재밌게 볼만한 작품이었다. 그런데 이 영화는 정말 느낌이 달랐다. 좀 당황스러웠다.
주인공 캐릭터에 공감이 안가는 것이 가장 큰 문제였던 것 같다.
이 영화의 주인공은 어느날 갑자기 염력을 갖게 되었는데, 그걸 대놓고 막 쓴다. 그런데 사실 그런 신비로운 힘이 생긴다면 그걸 그렇게 대놓고 쓸 사람이 있을까? (대부분 사람들은 복권에 당첨되면 주변 사람들에게 이야기 하지 않겠다고 한다. 스파이더맨도 자신의 능력을 숨겼다.)
물론 영화를 보면서 캐릭터를 꼭 이해할 필요는 없다. 유별난 캐릭터들은 당연히 이해하지 못한다. 그런데 좋은 영화를 볼 땐 캐릭터를 이해(또는 공감)하지 못하는 것이 불편한 요소가 아니다. 저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를 받아들이고, 영화를 보는거다.
그런데 이 작품의 경우, 공감이 안가는 것이 너무나 몰입을 방해했다. 평범한 서민이 히어로가 되었다는 영화인데, 그렇다기엔 그 평범한 사람에게 너무 이입이 안된달까.
그리고 심지어 멍청하다. 악의 무리에게 통쾌한 복수를 할거라면 그 능력을 좀 똑똑하게 쓰기라도 하던지. 생각없이 드러내고, 모함을 당하고 하는 모습이 답답했다. 지적능력이 뛰어난 주인공을 바라는 것도 아니다. 그냥 일반인이라면 저 주인공보다는 좀 더 잘 행동했을것 같단 거다.
사회문제를 다루는 방식은 <부산행>과 확연하게 비교된다.
<부산행>은 우리 사회의 문제를 다른 상황 속에서 보여주었는데, 이 영화는 아예 용산 참사 문제를 영화의 상황 자체로 가져왔다. 그런데 이렇게 대놓고 보여주는데, 심리적 효과는 오히려 적었던 것 같다. 생각하게 만들진 않았다.
또 하나, 장르 문제도 있다. <부산행>을 이야기할 때는 ‘쾌감’을 뺄 수 없다. 그 영화는 긴장할 수 밖에 없는 상황과 장르적 쾌감으로 가득하다. 그런데 이 영화 <염력>은 ‘장르적 쾌감’이라는 말을 쓰기도 애매하다. 장르가 뭔지 조차 모르겠으니까. 코미디로 보기도, 액션영화로 보기도 애매하다. 장르적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부분은 없었다.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단연 ‘정유미’였다. 그 선한 얼굴로 악당을 연기했는데, 참 신선했다. 우리 사회에서 진짜 고위층 악자들은 저런 모습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더 와닿았다.
마지막으로 덧붙이자면, ‘박정민’ 배우의 활용은 참 아쉽다. 굉장히 재능있는 배우라고 생각하는데, 이렇게 단편적인 역할로 소모되다니.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공감] 버튼 클릭! 부탁드립니다.
'영화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드풀2] 리뷰/ 매우 재밌지만 불편했던 영화 (1) | 2018.05.20 |
---|---|
[버닝] 예술적 과잉이 아닐까. 리뷰 및 해석 (0) | 2018.05.19 |
(영화) 스트레스 타파!!! '스티븐 연' 주연 [메이헴] (2) | 2018.05.10 |
(영화) 보고 싶던 영환데.. 아쉽다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0) | 2018.04.30 |
(영화) 스릴만점&존잼..! [콰이어트 플레이스] 감상기 (스포없음) (0) | 2018.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