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벌써 7월이네요. 지난번 1분기 영화를 추천에 이어, 2분기에 나왔던 좋은 작품들도 추천을 해보려고 합니다. (확실히 올해 초에 좋은 영화가 많았어요. 2분기는 조금 빈약하네요.ㅠ)



레이디버드

감독: 그레타 거윅

출연: 시얼샤 로넌



 성장통이란 것은 누구나 겪는 것이기에 이 영화가 그렇게도 마음이 찌르르했던 것이 아닐까요. 이 영화는 스스로를 ‘레이디버드’라고 이름지은 소녀의 일상을 보여줍니다. 특정한 사건이라기보다는 엄마와의 관계, 첫사랑을 겪는 과정 등 몇가지 에피소드가 나오는 식이죠. 거의 흑역사적인 순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딸이고, 고향을 떠난 경험이 있는지라, 그 지극히 평범한 공통점에 더 마음이 움직였던 것 같아요. 특히 레이디버드와 엄마가 나누었던 대사들이 잊혀지지 않았습니다. “나 좋아해?” “난 널 사랑해” “나 좋아하냐고.” “나는 너가 최상의 너가 되었으면 해.” “만약 이게 내 최고의 모습이면?”

 불완전하고, 그냥 힘들던 그 시절. 하지만 그냥 또 마냥 웃을 수 있기도 했던 그 시절이 떠오르는 참 따뜻하고 인간적인 영화. 많은 분들이 공감할만한 작품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콰이어트 플레이스

감독: 존 크래신스키

출연: 에밀리 블런트, 존 크래신스키



 마치 내가 영화 속 인물이 된 것 같은 몰입감을 느꼈던 영화입니다.

 영화는 괴생명체가 인간을 마구잡이로 죽이는 디스토피아를 그리고 있는데요. 이 괴생명체는 소리에 매우 민감합니다. 살아남는 방법은 소리를 내지 않는 것이죠. 그런 세상에서 한 가족이 생존 사투를 벌입니다.

 이 영화는 로튼 토마토 신선도 100%를 기록한 작품인데요. 확실히 소리내면 죽는다. 는 독특한 설정으로 영화를 끌고 가는 것이 매우 신선하다는 느낌이었습니다. 게다가 영화의 흡인력이 굉장해서 영화관에서 아주 작은 소리에도 예민해지는 경험을 했죠. 소리가 날까봐 내 입을 틀어막은 적이 한 두 번이 아니었습니다.(ㅋㅋ)

 참고로 이 영화에서 엄마와 아빠 역할을 한 배우 ‘에밀리 블런트’와 ‘존 크래신스키’는 실제 부부라는 점. (‘존 크래신스키’는 이 영화의감독이기도 합니다.) 정말 재능있는 영화인 부부네요!




바르다가 사랑한 얼굴들

감독: 아녜스 바르다

출연: 아녜스 바르다, 제이알



 90세의 여성 영화 감독 ‘아녜스 바르다’와 35세의 젊은 예술가 ‘JR’이 함께 여행을 하며, 인물 사진을 찍는 프로젝트를 합니다. 이 영화는 그 과정을 담은 프랑스 다큐멘터리 입니다. (‘아녜스 바르다’ 감독님은 프랑스에서 1950년대 말 일었던 누벨바그 운동의 중심에 있던 여성 영화감독입니다.)

 이 영화를 보면서 저는 일상에서 나오는 예술성을, 그리고 무엇보다 인류애를 느꼈었는데요. 감독님이 사람을 보는 따뜻한 시선이 영화에 그대로 표현되어 있단 느낌이 들었습니다.

 특히 잊을 수 없는 장면은, 자신들의 심장에 앉은 여인들의 모습이었는데요. (보신 분들이라면 다 공감하시지 않을까요.) 평범한 이야기들이 다르게 들리고, 엄청나게 의미심장하게 느껴지는 경험을 했습니다.

 90세의 나이에도 예술에 대한 열정을 가진 바르다 감독님의 모습이 감동적이기도 하고, 평소 잘 생각하지 않았던 예술과 사진에 대한 생각을 해보는 기회가 되기도한 많은 것을 느끼게 되는 작품입니다.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공감] 버튼 클릭! 부탁드립니다.






Posted by 소소한 감자
,

콰이어트 플레이스(2018)

감독: 존 크래신스키

출연: 에밀리 블런트, 존 크래신스키


이 영화는 괴생명체의 출연으로 인해 인간의 생존이 어려워진 세계를 배경으로 한다.

괴생명체의 특징은 소리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

아직까지 살아남은 이 가족은 소리를 내지 않고 살아남기 위해군분투 하고 있다.




이 곳의 법칙은 세 가지.


< 생존 법칙 >

1. 어떤 소리도 내지 말 것

2. 아무 말도 하지 말 것

3. 붉은 등이 켜지면 무조건 도망갈 것




전반적으로 정말 스릴있으면서도 재미있게 본 영화였다. 
이 영화를 본 소감을 간단히 정리해보겠다.



#신선함


로튼 토마토 신선도 100%를 기록하며 등판한 이 영화. 소리내면 죽는다.는 독특한 설정하나로 영화를 끌고가기 때문에, 매우 신선하다는 인식을 준다. (자세히 생각해보면 큰 설정 이외의 부분들은 익숙한 것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최근 1-2년 사이에 본 수작들 <겟 아웃>이나 <해피 데스 데이>같은 영화를 생각해 봐도 그렇고, 확실히 공포, 스릴러 장르에서는 딱 하나의 확실한 설정으로 끌고가는 것이 효과적인 것 같다.


#스릴만점


영화를 보면서 내 입을 틀어막은 적이 한 두 번이 아니었다.

어떡해!가 나도 몰래 입으로 나올 정도로 스릴넘치게 재밌었다.


#극예민


아마 많은 관객들이 이런 경험을 했을 것 같다. 극장 내 작은 소리에도 굉장히 예민해진다. 나의 경우엔 근처에 유난히도 속닥거리던 청소년들이 있었는데 정말… 괴로웠다.

관객들 정말 매너 좀 지켜줬음 좋겠다..(특히 이런 영화에서는!)


#에밀리 블런트&존 크래신스키


에밀리 블런트는 워낙 익숙한 배우인데, 존 크래신스키는 잘 몰랐었다.

그는 이 영화를 연출한 감독인데, 실제 에밀리 블런트의 남편이다. 그리고 극중에서도 그녀의 남편으로 나오고, 괴생명체로부터 가족들을 지키기위해 고군분투한다.

배우로서의 모습도 되게 멋지던데, 이렇게 연출까지 훌륭하다니. 정말 재능있는 영화인이다. 이 부부 멋지네!


프로모션 사진인데 너무 귀엽다.ㅋㅋㅋ



#아역들


아이들의 연기도 눈에 띄었다. 큰 딸 레건은 청각 장애인으로 나오는데, 이 역을 맡은 배우 ‘밀리센트 시몬스’는 실제로 청각 장애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크래신스키 감독은 그녀의 본능적인 연기가 정말 놀랍다며 극찬했다. 그리고 둘째 아들 마커스역을 한 배우 ‘노아 주프’는 <원더>에서 봤던 배우다. 그때 너무 귀여워서 기억했었는데 또 봐서 반갑다. 이 친구도 벌써 필모가 대단하다.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공감] 버튼 클릭! 부탁드립니다.





Posted by 소소한 감자
,